이끌든지 따르든지 비키든지

전체 글 67

[Spring] 혼자서 해보는 가상화폐 시세 알림 API - 설계

목표 - Spring Boot와 외부 API를 활용하여 가상화폐 시세 정보를 수집·처리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API 기술 스택 ▶ 선택한 이유 OpenFeign vs RestTemplate Spring Data JPA와 유사하게, 간결하고 선언적인 방식으로 HTTP 요청을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HTTP 클라이언트 구현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고, 외부 서비스를 로컬 메서드처럼 쉽게 호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외부 서비스를 내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고, 기능 확장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해 OpenFeign을 선택했습니다. [Spring] OpenFeign 알아보기 OpenFeign은 Spring Cloud 기반의 선언적 HTTP 클라이언트..

Framework/Spring 2024.01.11

[Spring] OpenFeign 알아보기

OpenFeign은 Spring Cloud 기반의 선언적 HTTP 클라이언트 도구로, 간편하게 외부 API를 호출 할 수 있는 도구이다. 어노테이션과 인터페이스 기반의 간소화된 코드 작성으로, 외부 API를 마치 로컬 메서드처럼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Spring Data JPA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DB 처리 메서드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하다.) OpenFeign의 장점 인터페이스와 어노테이션 기반이므로, 이전 방식(RestTemplate 등)에 비해 작성할 코드를 줄일 수 있음 Spring MVC Annotation(@GetMapping, @RequestBody…)를 활용해 구성 가능 Spring Cloud의 다른 기술들( Eureka, Ribbon, Hystrix 등 )과 통합이 용이 시작하기 ..

Framework/Spring 2024.01.09

[JPA] 패러다임 불일치

패러다임 불일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간의 근본적인 차이점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말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데이터와 행동을 함께 갖는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반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구조화한다. 이 두 시스템 사이의 차이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JPA가 패러다임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는지 알아본다. 패러다임 불일치 문제와 JPA의 해결책 상속과 다형성 (문제) 객체 지향 언어에서는 상속을 통해 재사용과 확장이 가능하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계층적 구조를 직접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해결) JPA는 클래스 계층을 DB 테이블과 매핑하는 여러 전략을 제공한다. @Entit..

Framework/JPA 2024.01.04

[JPA] JPA(Java Persistence API)란?

JPA(Java Persistence API)는 Java EE 환경에서 객체 관계 매핑(ORM)을 위한 공식적인 표준이다. 자바 객체와 DB 테이블 간의 매핑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보다 객체 지향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JPA 이전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방식 초기에 자바에서 DB와의 연동은 주로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를 통해 이루어졌다. public void addMember(int id, String name, String email)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 (id, name, email) VALUES (?, ?, ?)"; try (Connection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

Framework/JPA 2024.01.02

[Design Pattern] LSP(리스코프 치환 원칙)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는 SOLID 원칙 중 하나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설계 원칙에 대한 중요한 개념이다. 이 원칙은 1987년 바바라 리스코프에 의해 처음 제안되어 리스코프 치환 원칙이라 부른다.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은 "프로그램에서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대체(치환) 해도 프로그램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는 내용을 정의하는 원칙이다. 이 원칙은 자식 클래스(상속을 받은 클래스)가 부모의 클래스의 동작을 변경하지 않고, 확장해야 함을 말하며, 상속과 다형성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볼 수 있다. ..

[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원리

Spring Framework는 2003년에 처음 출시되었다. 처음에는 복잡한 엔터프라이즈 자바 개발을 단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엔터프라이즈 자바 빈즈(EJB)의 복잡성과 무거운 구조를 대체할 수 있는 가벼운 대안으로 등장했다. 주요 특징 1.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Aspect-Oriented Programming)- 관점을 기준으로 횡단 관심사를 분리해 모듈화 할 수 있다. 2. 제어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객체 생성에 대한 제어를 프레임워크에 위임해, 스프링이 객체의 생명 주기를 관리한다. 3.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객체 간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해 직접적으로 의존성을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관점..

Framework/Spring 2023.11.27

[Design Pattern] OCP(개방 폐쇄 원칙)

객체지향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하고, 반드시 지켜야 할 5가지 원칙이 있다. 각 원칙의 앞글자를 따 SOLID 원칙이라 하는데, 오늘은 두 번째인 개방 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에 대해 알아본다. 개방 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객체는 확장에 대해서는 개방적이고, 수정에 대해서는 폐쇄적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확장에 개방적이다. 여기서 확장이란, 새로운 기능이나 동작의 추가를 말한다. 확장에 개방적이어야한다는 말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기능을 확장할 때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새로운 코드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수정에 폐쇄적이다. 기존의 코드는 수정을 피해야 한다. 기존 코드를 수정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

[Spring Boot] 기능 기반 패키지 구조(package-by-feature)

선행 지식 : MVC 패턴 (링크) Spring 프레임워크 기반의 앱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하는 패키지 구조가 몇 개 있는데, 계층 기반 패키지 구조(Package-by-Layer), 기능 기반 패키지 구조(Package-by-Feature) 두 가지이다. 기능 기반 패키지 구조란 기능 또는 모듈별로 관련된 클래스 및 패키지를 그룹화하여 구성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아래 예시처럼 account와 admin 기능에 따라 패키지(클래스)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앱의 요구사항이나 특성을 고려해 두 구조 중 하나를 선택하지만, 보통 Spring Boot에서는 테스트 & 리팩토링 용이성, MSA(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분리되게 쉬움 등의 이유로 기능 기반 패키지 구조를 권장한다고 한다. Controller Co..

Framework/Spring 2023.10.22

[Java]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 2

(전 글에 이어서 작성) [Java]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 1SOLID 원칙, 추상화, 다형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 대해 공부할 때 정말 지겹도록 보게 되는 OOP의 특징과 원칙들이 있다. 코드를 객체 지향적으로 작성하려면 이러한 특징들을 지켜야seongho-jo-5.tistory.com6. 줄여 쓰지 않는다.이름이 짧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변수명, 메서드명을 짧게 만들기 위해 보통 단어를 축약하는 방법을 많이 택하지만, 과도한 축약은 오히려 가독성을 떨어트린다. 줄여쓰지 않은 이름이 너무 길다면, 책임을 너무 많이 가져 단일 책임 원칙을 위배하는 것은 아닌지 , 적절한 클래스의 아래에 위치하지 않아 그런 것인지 이유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public class Data..

[Java]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 1

SOLID 원칙, 추상화, 다형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공부할 때 정말 지겹도록 보게 되는 OOP의 특징과 원칙들이 있습니다. 코드를 객체 지향적으로 작성하려면 이러한 특징들을 지켜야 하지만, 초보 개발자가 저 원칙들만 보고 코드에 적용하기엔, 개념이 추상적이기에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은 이에 대한 조금 더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고 보면 될 듯합니다. 각 원칙과 설명을 읽어보면서 이 원칙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를 생각해 보고 내 코드에 적용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 쓰기만 한다. else 예약어를 쓰지 않는다. 모든 원시 값과 문자열을 포장한다. 일급 컬렉션을 쓴다. 한 줄에 점을 하나만 찍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