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면접 단골 질문] Spring
Spring DI / IoC 란?
의존성 주입(DI): 객체의 생성과 사용에 필요한 의존성을 객체 스스로 생성하지 않고, 외부(스프링의 경우 IoC 컨테이너)에서 주입하도록 합니다.
제어의 역전(IoC): 객체 생성, 의존성 연결, 메서드 호출 등 프로그램의 흐름을 개발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프레임워크에 맡기는 것을 말합니다.
IoC 컨테이너의 역할은 무엇이 있을까요?
- 빈의 생명주기 관리: 생성, 초기화, 소멸 과정을 관리
- 빈의 의존성 관리: 빈 간의 의존성을 주입하고 관리
- 빈의 설정 관리: XML, 어노테이션 등을 통해 빈의 구성 정보를 관리
- 빈의 이름 해석: 이름이나 ID를 통해 특정 빈을 참조할 수 있게 관리
DI 종류는 어떤것이 있고, 이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생성자 주입: 의존성을 가진 객체의 생성자를 통해 DI
- 필드 주입: 필드에 직접 DI, 주로 '@Autowired'
- Setter 주입
Autowiring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1. Autowiring이 필요한 빈의 클래스를 스캔해 필요한 의존성을 찾습니다.
2. 이름이나 ID를 통해 필요한 의존성을 찾았다면, 생성자 주입 등을 통해 의존성을 주입해 객체를 생성합니다.
Spring Bean이란 무엇인가요?
Bean은 스프링 IoC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객체를 말합니다.
@Component, @Service 어노테이션이나 'ApplicationContext.xml'과 같은 설정 메타 데이터에 의해 관리됩니다.
Bean의 생성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 컴포넌트 스캔: 클래스 경로를 스캔해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찾는다.
- 인스턴스화 & DI: 스캔된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의존성을 주입한다.
- 초기화: 생성 및 의존성 주입 후, 초기화 메서드를 통해 Bean을 초기화한다.
- 사용 및 소멸: 초기화 이후, 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빈의 생명 주기가 끝나면, 컨테이너는 빈을 소멸시킵니다.
Bean의 Scope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Singleton: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쳐 공유되는 하나의 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특별한 구성 없는 경우 default)
- Prototype: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 Request: HTTP 요청당 하나의 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 Session: HTTP 세션당 하나의 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 GlobalSession: 전역 HTTP 세션당 하나의 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Spring Web MVC의 Dispatcher Servlet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디스패처 서블릿은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을 구현한 Spring Web MVC의 중앙 집중식 컨트롤러로,
요청 URL을 분석해 적절한 핸들러를 결정해 호출하고, 실행 결과(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이란 무엇인가요?
모든 요청을 단일 진입 지점을 통해 처리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요청 처리 과정을 단순화하고, 인증, 로깅과 같은 모든 요청에 필요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Servlet Filter와 Spring Interceptor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Servlet Filter는 서블릿 스펙의 일부로,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동작하고, Spring Interceptor는 Spring MVC의 컨텍스트 내에서 동작합니다.
서블릿 필터는 모든 요청에 작동해 인코딩 처리 등 전역적인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인터셉터는 Spring MVC의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되는 요청에만 적용되므로, 트랜잭션, 컨텍스트 관리 등 웹 요청 처리 등에 사용됩니다.
직렬화 / 역직렬화란?
직렬화(Serialization): 객체 상태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객체를 파일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역직렬화(Deserialization): 바이트 스트림을 객체 상태로 복원하는 과정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로 변환합니다.
이 어노테이션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RequestMapping: 메소드 또는 클래스에 매핑된 HTTP 요청을 처리합니다. 주로 컨트롤러에서 사용되며, 특정 URI에 대한 요청을 메소드와 연결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RestController: 클래스가 RESTful 웹 서비스의 컨트롤러임을 나타냅니다. @Controller와 @ResponseBody를 합친 것으로, JSON이나 XML 형태로 객체 데이터를 HTTP 응답 본문에 반환합니다.
@Service: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계층의 컴포넌트임을 나타냅니다.
(@Component와 동일하지만, 서비스 계층임을 명시하는 의미적인 차이만 존재)
@Repository: 데이터 저장소, 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클래스에 사용됩니다.
@Entity: JPA의 엔티티임을 나타냅니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될 클래스에 사용됩니다.
Actuator가 무엇이고 어디에 쓰이나요?
Actuator는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메트릭스(헬스 체크, 환경 설정, 로그 수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운영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REST API를 보호하는 방법은?
- 인증 및 권한 부여 메커니즘 구현(e.g. Spring Security + OAuth, JWT)
- SSL/TLS를 통한 데이터 암호화 (e.g. HTTPS)
- API 사용량 제한 (e.g. Rate Limit / Token- Bucket, Leaky-Bucket) 등